위메이드가 ‘스테이블넷(StableNet)’ 테스트넷 소스코드를 공개했습니다.
한국형 원화 스테이블코인 전용 블록체인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데요.
단순한 코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K-금융 인프라를 블록체인으로 옮기겠다”**는 선언에 가깝습니다.

✔️ 핵심 요약
위메이드가 드디어 ‘스테이블넷(StableNet)’의 테스트넷 소스코드를 공개했습니다.
이건 단순 기술 공개가 아니라, 한국형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출발점이에요.
스테이블넷은 원화(KRW) 기반 스테이블코인 전용 레이어1 블록체인으로,
위메이드가 지난 9월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 행사에서 처음 공개했던 프로젝트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GitHub에 테스트넷 코드를 공개하면서,
누구나 이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게 문을 연 셈입니다.
💡 왜 중요하냐면
지금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달러 기반(USDT, USDC 등)으로 완전히 장악돼 있습니다.
그런데 위메이드는 **‘원화로 안정적인 결제와 송금이 가능한 블록체인’**을 만들겠다고 나선 거예요.
이건 단순히 코인을 하나 더 만드는 게 아닙니다.
한국형 금융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 실험에 가깝습니다.
쉽게 말하면,
- 은행 없이도 원화 결제 가능
- KYC·AML까지 탑재된 합법적 블록체인
- 환율·금리·유가 데이터도 오라클(Oracle)로 실시간 반영
즉, “금융과 블록체인의 중간지점”을 공략하고 있는 거죠.
🧠 기술적 포인트 정리
이번 위메이드의 ‘스테이블넷’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 ⚙️ KYC(실명인증) / AML(자금세탁방지) 내장
- 🚫 이상거래탐지(FDS) 시스템 도입
- 🔗 오라클 연동으로 환율·유가·금리 데이터 실시간 반영
- 💬 기업 맞춤형 스테이블코인 발행 지원
즉, 지금까지 블록체인이 “규제 회피”를 중심으로 움직였다면,
위메이드는 오히려 **“규제를 정면으로 품는 블록체인”**을 내세운 겁니다.
솔직히 이건 굉장히 한국적인 접근이에요.
해외는 탈중앙화에 집중하지만,
한국 시장은 합법적이고 투명한 구조가 아니면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지 않거든요.
💬 제 생각: “게임회사가 금융 인프라를 만든다?”
처음엔 저도 ‘위메이드가 또 코인 낸다고?’ 싶었는데,
내용을 보니 이번엔 확실히 다릅니다.
과거 미르4, 위믹스(WEMIX)로 P2E 게임 시장을 선도했다면,
이제는 그 경험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경제를 금융 수준으로 확장하려는 단계예요.
특히 테스트넷 소스코드를 오픈했다는 건
“우리 기술을 감추지 않겠다, 모두 같이 생태계를 키우자”는 의도죠.
즉, 탈중앙화된 K-금융 허브를 목표로 하고 있는 셈입니다.
📈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이 프로젝트가 진짜 성공하려면 3가지가 중요합니다.
1️⃣ 규제 승인 —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정부 허가 없이는 발행 불가
2️⃣ 파트너십 — 은행, 결제사, 오라클 기업과의 기술 제휴 필요
3️⃣ 유저 생태계 — 기업과 개인이 실제로 스테이블넷을 사용해야 의미 있음
다만, 위메이드는 이미 국내외 블록체인 기업들과 협력 중이며,
특히 “K-금융의 세계화”를 언급한 만큼, 글로벌 확장도 노리고 있는 듯합니다.
📌 정리하자면
- 위메이드가 만든 ‘스테이블넷(StableNet)’ = 원화 기반 레이어1 블록체인
- KYC/AML 내장형 구조로 기존 코인들과 완전히 차별화
- 금융 + 블록체인 융합 인프라로, 향후 기업 결제·송금 시장까지 진출 가능
- 기술 오픈소스로 전환 → 생태계 확장 신호
결국 위메이드는 단순히 게임사가 아니라,
‘블록체인 금융 기업’으로의 진화를 본격화한 셈이에요.
💬 FAQ
Q1. 스테이블넷은 일반 투자자도 참여할 수 있나요?
A. 현재는 테스트넷 단계라 일반 투자는 불가능하지만,
향후 메인넷 런칭 시 개발자와 기업 중심으로 생태계가 확장될 예정입니다.
Q2. 기존 위믹스와는 다른 프로젝트인가요?
A. 네. 위믹스는 게임 생태계 중심의 코인이고,
스테이블넷은 금융 인프라 중심의 블록체인입니다.
Q3.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실제로 가능할까요?
A. 정부 규제와 은행 연동이 관건이지만,
KYC·AML이 내장된 만큼 합법적 구현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코인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美 정부 셧다운 종료 임박…비트코인 ETF 승인 ‘초읽기’ 돌입 (0) | 2025.11.12 |
|---|---|
| 빙엑스, AI 암호화폐 어시스턴트 ‘BingX AI’ 공식 출시…트레이딩의 판이 바뀐다 (0) | 2025.11.11 |
| OKX, 캘리포니아 산호세 본부 설립…미국 시장 ‘정면 돌파’ 선언 (0) | 2025.11.11 |
| 이더리움 거래량 폭발! 바이낸스 중심으로 변동성 커진다 (0) | 2025.11.11 |
| 리플 “한국이 스테이블코인 핵심시장 될 것” 선언! RLUSD 확장 본격화 (0) | 2025.11.11 |
